※ 본 리포트는 퇴직 후 자산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퇴직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고자 작성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 자산별 권장 포트폴리오 (단위 : %)
세 대 별 | 채권 | 주식 | 가상자산 | 현물(금) | 현금성 자산 |
60대 이상(퇴직자) | 50 | 30 | 5 | 5 | 10 |
40~50대(장년층) | 30 | 50 | 5 | 5 | 10 |
20~30대(청년층) | 10 | 70 | 10 | 5 | 5 |
■ 시장전반 요약
지난주 자산시장은 홍콩증시가 +2.84%, 한국 코스피가 +2.52%,로 상승률이 가장 높았고, 한국채권 10년물이 –1.77%로 하락율이 가장 컸습니다.
우리 시장은 정부의 지속적인 증시부양을 위한 노력과 글로벌시장의 안정 등에 힘입어 지수 상승
기존 주도주들의 상대적으로 높은 주가위치에 따른 조정흐름과, 펀더멘탈 흐름과는 괴리된 주가의 상대위치가 낮은 섹터로의 순환매가 특징, 지수에 대한 부담감은 상승세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기 어려운 수준
정부에서 금년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로 낮춘 것을 보더라도 우리경제의 성장은 어려운 상황에 있음이 분명
미국시장은 엔비디아의 대중국 H20수출 재개 기대감 및 메타의 대규모 AI 인프라투자계획, 미국정부의 AI방위를 위한 AI모델개발 기업과의 계약소식, 트럼프의 700억불 AI인프라 투자 계획 등이 발표되면서 AI기업위주로 견조한 흐름 지속 중(그리드앤 피어지수 75를 기록 중)
한편으로 관세영향이 크지 않음을 확인한 투자자들이 넷플릭스와 스포티파이 등 관세 무풍지대 관련기업들에 대해서 소폭 비중조절
중국시장은 양호한 GDP 성장 (5.0%를 넘는 5.2%성장), 그리고 수출과 산업 생산 데이터의 호조, 그리고 H20의 대중국수출 재개의 뉴스를 미중간 관세협상의 희망적인 메시지라는 점에서 지속적인 조정흐름에서 상승세로 전환, 향후 하반기 동안 중국시장의 기조적인 상승가능성에도 주목해야 할 것으로 전망
■ 자산별 주간실적 요약
구분 | 명 칭 | 전주 | 금주 | 전주대비 | 등락율 |
주식(한국) | 코스피 | 3,175.77 | 3,188.07 | 12.30 | 0.39% |
코스닥 | 800.47 | 820.67 | 20.20 | 2.52% | |
주식(미국) | 다 우 | 44,371.51 | 44,342.19 | -29.32 | -0.07% |
나스닥 | 20,585.53 | 20,895.66 | 310.13 | 1.51% | |
주식(중국) | 중국심천 | 10,696.10 | 10,913.84 | 217.74 | 2.04% |
홍콩항셍 | 24,139.57 | 24,825.66 | 686.09 | 2.84% | |
채권(한국) | 30년물 | 2.717 | 2.763 | 0.046 | 1.69%(하락) |
10년물 | 2.823 | 2.873 | 0.050 | 1.77%(하락) | |
채권(미국) | 30년물 | 4.955 | 4.991 | 0.036 | 0.73%(하락) |
10년물 | 4.412 | 4.416 | 0.004 | 0.09%(하락) | |
가상자산 (업비트기준) |
비트코인(천원) | 159,777 | 162,100 | 2,323 | 1.45% |
현물 | 금(원/g) | 148,200 | 149,500 | 1,300 | 0.88% |
(채권은 가격이 하락하면 반대로 수익률이 높아집니다.)
Ⅰ. 주식 학습종목 분석
유망투자섹터 : AI, 휴머노이드로봇, 방위산업, 전력인프라, 한국 벨류업기업
주간성과(21종목) : 신고가 4종목(19%), 상승 10종목(48%), 하락 7종목(33%)
주식 포트폴리오 : 미국(45%), 한국(40%), 중국(10%), 예수금(5%)
학습종목 변동 : 없음
1) 한국주식 (8종목)
종 목 | 주간성과 | 주가변동사유 | 주가위치(단기) | 밸류에이션 |
SK하이닉스 | -8.03% | HBM 경쟁심화전망 일부 애널리스트 전망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 눌림목 | 6 |
하이브 | -1.11% | 방시혁 사법리스크 지속 | 눌림목조정중 | 40 |
삼양식품 | -4.50% | 차익실현 | 사상최고가 부근 | 23 |
한화에어로 | +10.75% | 유상증자로 인한 선제적 물량소화 해소국면 | 눌림목구간에서 반등 | 23 |
LIG넥스원 | +10.12% | 업황호전 기대감 | 종가기준 신고가 | 34 |
삼성화재 | -0.85% | 전주 대비 변동없음 | 눌림목조정중 | 9 |
삼성생명 | +3.20% | 밸류업 및 삼성전자 주가 상승 | 신고가 부근 | 7 |
클래시스 | +1.92% | 자율반응 | 눌림목 지속 | 24 |
- AI하드웨어 : SK하이닉스 - 방산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 벨류업 개선 : 삼성화재, 삼성생명 - K팝, 식품 : 하이브, 삼양식품
2) 미국주식 (9종목)
종 목 | 주간성과 | 주가변동사유 | 주가위치(단기) | 밸류에이션 |
엔비디아 | +4.54% | H20 중국 수출재개 가능성 | 사상최고가 | 33 |
브로드컴 | +3.27% | 엔비디아 주가 상승, 섹터랠리 | 사상최고가 | 43 |
마이크로소프트 | +1.34% | 실적기대감 지속 | 사상최고가 | 38 |
팔란티어테크놀러지 | +8.04% | 업황호전 기대감 | 사상최고가 | 295 |
메타 | -1.86% | 자본지출과다 우려감과 성장기대감 사이의 공방 | 사상최고가후 소폭조정 | 28 |
테슬라 | +5.15% | 실적시즌 도래, 머스크 부양 기대감 | 눌림목에서 반등 | 115 |
스포티파이 | -1.93% | 관세영향 적은기업우려가 줄어들면서 상대적으로 약세 | 사상최고가에서 조정 | 65 |
템퍼스 AI | +7.21% | 심장진단기기 FDA승인 | 눌림목 구간에서 반등 | 적자지속 |
아처 에비에이션 | +24.65% | 상용화시기 가까워져 오는 중 | 신고가 부근 | 적자지속 |
- AI하드웨어 : 엔비디아, 브로드컴 - EVTL : 아처 에비에이션
- AI소프트웨어 : MS, 팔란티어, 메타, 테슬라, 스포티파이, 템파스AI
3) 중국주식 (4종목)
종 목 | 주간성과 | 주가변동사유 | 주가위치(단기) | 밸류에이션 |
SMIC | +2.50% | 섹터 주가 상승 | 눌림목에서 상승전환 | 39 |
샤오미 | -0.61% | 차익실현 매물 소폭 출회 | 사상최고가에서 소폭 조정 | 40 |
BYD | +5.25% | 중국정부의 저가 판매 규제 | 눌림목에서 반등중 | 18 |
샤오펑 | +5.34% | 중국정부의 저가 판매 규제 | 눌림목에서 반등중 | 적자지속 |
- AI하드웨어 : SMIC - AI소프트웨어 : 샤오미, 알리바바, BYD, 샤오펑
Ⅱ. 채권 학습종목 분석 (단위 : 원, $)
종 목 | 전주 | 금주 | 전주대비 | 등락율 |
(한국) 국고채권500-5003(20-2) | 7,880 | 7,809 | -71.00 | -0.90% |
(미국) 아이쉐어즈 美 20년 이상 국채 ETF (TLT) | 85.79 | 85.24 | -0.55 | -0.64% |
금리의 상승재료와 하락재료가 서로 상충되는 지표가 발표된 가운데 소폭 장기금리는 상승하고 단기금리는 하락하는 모습
장단기 금리차의 확대는 경제 펀더멘탈이 견조함을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향후 시장리스크 자체는 감소할 것이라는 반증
파월의장 해임설로 30년물 금리가 5%를 넘어서기도 했으나 전고점을.. 하회하는 수준에서 반락하여 5% 아래로 하락, 생각보다 견조한 고용과 민간소비는 금리하락의 속도를 늦출 것으로 전망
Ⅲ. 가상자산 학습종목 분석 (단위 : 원. $)
종 목 | 전주 | 금주 | 전주대비 | 등락율 | 밸류에이션 |
비트코인-업비트(천원) | 159,777 | 162,100 | 2,323 | 1.45% | - |
코인베이스-미국주식($) | 387.06 | 419.78 | 32.72 | 8.45% | - |
미국 의회에서 스테이블코인·디지털자산 법안이 통과되며 규제 불확실성이 해소.
기관의 비트코인 ETF 대규모 자금 유입이 이어지며 투자 심리가 강세로 전환
Ⅳ. 금 학습종목 분석 (단위 : 원)
종 목 | 전주 | 금주 | 전주대비 | 등락율 | 밸류에이션 |
금(현물) | 148,200 | 149,500 | 1,300 | 0.88% | - |
KODEX 골드선물 | 19,810 | 19,755 | -55 | -0.28% | - |
트럼프 대통령의 대EU·멕시코 사치품에 대한 관세 위협, 미·중 무역 불안, 중동 정세 긴장 등으로 안전자산 선호가 강화
※ 유의사항 1. 본 리포트는 특정종목 매수, 매도에 대한 추천이 포함되지 않음을 안내 드립니다. 2. 본 리포트는 참고자료이며, 유가증권 투자 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최종결정을 하시기바랍니다. 투자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3. 본 리포트에서 소개한 주식종목은 급격한 시황변화가 없는 한 단기투자가 아닌 최소 6개월 이상 장기투자자를 권합니다. |
※ 주식 주간실적분석은 서재형 투자교실에서 학습하는 종목을 관심 종목으로 하였으며,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면 아래 유투브 링크에서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UaoQPqGomRM
- https://www.youtube.com/watch?v=MUsqG3x3IIs
'주간리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투자 주간 리포트(2025년 8월 1주차) (13) | 2025.08.02 |
---|---|
행복투자 주간 리포트(2025년 7월 4주차) (10) | 2025.07.26 |
행복투자 주간 리포트(2025년 7월 2주차) (4) | 2025.07.12 |
HBM3E 수율과 AI 시대 메모리 경쟁력(2025년 7월 기준) (1) | 2025.07.09 |
행복투자 주간 리포트(2025년 6월 4주차) (4) | 2025.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