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팔란티어

팔란티어 (Palantir Technologies Inc) 주간 리포트 (5월1주)

행복투자연구소 2025. 5. 10. 21:53

1. 요약 개요

팔란티어 주가는 2025년 5월6일  실적 발표 후 시간 외에서 급락세를 보였으며, 5월 첫째 주에는 일부 반등 시도를 보이긴 했지만 여전히 변동성이 컸습니다. 실적 발표 당일(5월 5일) 시간 외에서 주가는 약 12% 하락했으며, 이는 시장 기대를 밑도는 민간 부문 성장률과 향후 수익 가이던스 보수적 제시 때문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조정 국면에 진입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AI 플랫폼(AIP)의 확산과 정부·국방 계약 확대가 성장 모멘텀을 유지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2. 밸류에이션

현재 팔란티어의 주가는 주당 약 20달러 중반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시가총액은 약 470억 달러 수준입니다. 2025년 예상 PER는 5862배로 추정되며, PSR은 약 1517배 수준으로 분석됩니다. 고평가 논란이 여전히 있지만, AI 플랫폼 관련 기대감이 프리미엄에 반영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전년 대비 매출 성장률은 2024년 전체 17%에서 2025년에는 약 20% 초반대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나, 민간 부문의 성장 둔화는 하방 압력 요인입니다.

3. 주요 이슈 요약

  • 1분기 실적 발표 및 반응: 1분기 매출은 6.05억 달러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으며, 주당순이익(EPS)은 GAAP 기준 $0.04로 시장 기대치를 소폭 하회했습니다. 공공 부문 매출이 16% 증가한 반면, 민간 부문은 27% 증가로 여전히 양호했지만 전분기 대비 성장 둔화가 뚜렷하게 관측되었습니다. 미국 민간부문 고객 수는 2024년 1분기 대비 69% 증가하며 전년 기저 효과가 컸습니다. 그러나 AI 기대감이 선반영된 상황에서 실제 매출 기여가 크지 않다는 평가가 주가 급락의 핵심 원인 중 하나였습니다.
  • AIP 확산과 실질 기여: 팔란티어의 AIP(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는 민간 고객을 중심으로 시범 운영 후 본계약이 전개 중이며, 1분기에만 약 660건의 시범 배포가 이루어졌습니다. 그러나 수익화까지 시간이 소요되고 있어 실질 매출 반영에는 지연이 존재합니다. 이는 시장이 기대한 AI 수익화 속도와 괴리를 보이는 대목입니다.

4. 기술 및 사업 전략

  • AIP와 고담·파운드리 통합 전략: 팔란티어는 AIP를 기존 플랫폼인 고담(Gotham), 파운드리(Foundry)와 통합하면서 산업별 특화 기능(AIP for Energy, AIP for Defense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제조, 물류, 헬스케어 영역에서 AIP 도입이 늘고 있으며, 에너지·공공안보 부문에서는 고담과의 통합 적용 사례가 증가 중입니다.
  • 국방 및 정부 계약 확대: 미 국방부, 국토안보부 등과의 계약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며, NATO 동맹국과의 협력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유럽 국방 IT 프로젝트 수주, 우크라이나 전시 정찰 시스템 통합 건이 대표 사례입니다. 메타콘스텔레이션(MetaConstellation)을 활용한 위성 데이터 통합 분석도 주목받고 있으며, 이는 전장 인식 및 전략 의사결정 AI에 포함됩니다.

5. 경쟁 및 시장 환경

팔란티어는 AI 및 빅데이터 기반 분석 솔루션 시장에서 독특한 포지셔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클라우드, AWS 등이 보편적인 LLM 인프라를 제공하는 반면, 팔란티어는 보안·정밀 데이터 기반 분석에 초점을 맞춘 고부가가치 시장을 공략합니다. 민간기업 고객 확장에서는 스노우플레이크, 데이터브릭스와 경쟁하지만, 보안·정부 특화형 프로젝트에서는 경쟁력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기술 장벽이 높고, 고객별 맞춤형 제공 모델이기 때문에 진입장벽은 높은 편입니다.

6. 애널리스트 평가

최근 실적 발표 후 여러 증권사는 목표주가를 소폭 하향 조정했습니다. 모건스탠리는 'Equal Weight' 의견을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24달러로, 골드만삭스는 'Neutral' 의견과 함께 22달러를 제시했습니다. 반면, 웨드부시 증권은 AI 기반 실적 가시성을 근거로 'Outperform'을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28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대체로 “높은 기대감이 반영된 주가 수준”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7. 향후 전망 및 투자 시사점

팔란티어는 향후 민간 부문에서 AIP 수익화가 실현되느냐가 주가 반등의 핵심 조건이 될 것입니다. 정부 계약 기반의 매출 안정성은 장점이나, 고성장 섹터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민간에서의 매출 모멘텀이 필요합니다. 2025년 하반기에는 AI 플랫폼 매출 기여가 본격화될 수 있다는 기대가 있으나, 실제 계약 전환률과 평균 계약 금액 추이에 따라 주가 민감도가 클 것입니다. 밸류에이션이 높은 만큼 수익성 개선이 동반되지 않을 경우 재차 조정 국면에 진입할 수도 있어, 투자자들은 분기 실적과 AI 사업부문의 수익화 진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