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엔비디아

엔비디아(NVIDIA) 주간 리포트 ( 5월 2주차)

행복투자연구소 2025. 5. 17. 21:35

1. 요약 개요

엔비디아는 2025년 5월 2주차 기준 주가가 주간 16.07% 상승하며 기술주 랠리를 주도했다. 단기적으로는 AI 수익화 논란 완화, 관세 및 대중 규제 철폐 가능성 보도, 그리고 미국 빅테크의 지속적인 인프라 투자에 대한 기대감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중장기적으로는 고점 근처에서의 박스권 횡보를 보이며 구조적인 성장을 반영하고 있다.

2. 밸류에이션 및 주가 변동

  • 2025년 말 기준 예상 PER: 약 23.4배
  • 2026년 말 기준 예상 PER: 약 25.2배 (H20 수출이 영구 중단될 경우)
  • 주간 주가 변동: 2025년 5월 10일 종가 $116.65 → 5월 17일 종가 $135.40으로 상승, 주간 상승률 약 16.07%
  • UBS 목표주가 변경: 기존 $180 → $175로 하향 조정
  • 평가 요약: AI 반도체 시장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반영한 프리미엄이 유지되고 있으며, 규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인 성장세와 높은 수익성으로 투자 매력도가 지속되고 있음

3. 최근 펀더멘털 변화 및 주요 뉴스

  • 규제 관련 리스크 완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AI 칩 대중 수출 제한 철회 방침이 발표되며, 단기적으로 불확실성 해소 및 투자 심리 개선 효과 발생
  • 서비스나우와의 협업: 지능형 AI 에이전트 분야에서 ServiceNow와의 공동 개발 발표, NeMo 마이크로서비스 적용 확대로 클라우드 기반 AI 비즈니스 강화
  • 미국 상원의 ‘칩 보안법’ 발의: AI 칩 위치 추적 및 보고 의무 부여 등 통제 강화 흐름이 동반되어 향후 정책 방향 주시 필요
  • 사우디와 전략적 제휴 체결: 사우디 국부펀드 산하 HUMAIN과 5년간 대규모 AI 인프라 구축 계약 체결. 초기 18,000개 GB300 GPU 공급, 총 70억 달러 규모 수혜 기대
  • 아랍에미리트 AI 칩 수출 계약 논의: 연간 최대 50만 대의 고성능 반도체 공급 예상, G42 및 MS, 오라클 등 현지 기업이 주요 수요처로 부각
  • 가격 인상 발표: TSMC 애리조나 팹의 생산비 증가에 대응해 엔비디아는 대부분 제품 가격을 인상함. 서버 제조업체도 10~15% 인상 움직임

4. 기술 경쟁력 및 성장 전략

  • 제품 포트폴리오 대응 전략: 미국의 규제 강화에 대응해 성능 하향 조정된 H20 AI 칩 중국 버전 출시 예정. 상하이 R&D 센터 설립을 통해 현지 수요 대응 및 맞춤형 기술 확보 추진
  • AI 플랫폼 생태계 확대: LLM 기반 NeMo, AI 에이전트 툴킷, Omniverse 등 GPU 기반을 넘어선 플랫폼 영역 확장 지속
  • CEO 발언 요약: 젠슨 황은 “AI 칩 수출을 막으면 오히려 화웨이와 같은 중국 기업에 반사이익이 돌아간다”며 미국 내 산업적 관점에서 수출 정책 조율의 필요성을 강조

5. 수급 동향 및 주가 모멘텀

  • 최근 수급: 외국인 순매수 지속, 기술주 중심 펀드 자금 유입 영향
  • 주가 상승 요인:
    • 트럼프 행정부의 규제 완화 보도
    • 글로벌 반도체 수요 지속과 수출 재개 기대감
    • 중동 국가 대상 수출 계약 확대, 대형 프로젝트 수주로 실적 가시성 제고

6. 증권사 평가 및 목표주가

  • Piper Sandler: ‘Overweight’ 유지, 목표주가 $150.00
  • UBS: ‘Buy’ 유지, 목표주가 $175.00 (하향 조정)
  • Seaport Global: ‘Sell’, 목표주가 $100.00 → 가장 보수적인 시나리오 반영
  • BofA(뱅크오브아메리카): 목표주가 $160.00으로 상향, 국가 AI 프로젝트 수혜 반영

7. 향후 전망 및 투자 시사점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수요 지속, 글로벌 수출 계약 증가, 규제 완화 흐름,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 등 다양한 호재가 중첩되며 강한 주가 모멘텀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사우디 및 UAE 등과의 국가 단위 계약은 연 30~50억 달러 이상의 매출 기여가 기대되며, 하반기에는 GB300, Rubin GPU 등 고성능 신제품이 출시되며 매출과 마진 확대로 이어질 전망이다. 다만, UBS의 EPS 전망 하향과 마진 부담 가능성은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분할 매수 및 실적 발표 전후 모멘텀 확인 전략이 유효하다.